We need to talk about rehab/Sports rehabilitation(스포츠재활)

[재활의학과] 경피적 전기신경자극 장치 (TENS) 의 원리/적응증/금기/치료법

Dr.A 2023. 5. 21. 16:58
반응형

경피적 전기신경자극 치료 (Transcurrent electical nerver stimulation)

 

 

안녕하세요. 

 

오늘은 만성 통증 환자분들에게 주로 사용되는 경피적 전기신경자극 장치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허리 통증이나 급성 염좌가 발생하여 재활의학과에 방문하는 경우 이러한 물리치료를 진행하게 되는데, 원리와 적응증에 대하여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경피적 신경자극치료 (TENS) 원리

 

경피적 신경자극치료가 통증을 경감시켜주는 효과에는 주로 두가지 원리가 치료의 근거가 됩니다.

 

첫번째는 Gate control theory로 알려진 관문조절설 입니다.

 

 

1. Gate control theory

Small afferents fiber인 A-delta fiber(주로 해로운 기계적인 자극, 찌릿거리거나 따끔거리는 느낌) 이나 C-fiber(해로운 열자극이나 화학자극)이 자극되는 경우에는 통증을 조절하는 gate가 열려있게 됩니다.

 

반면, large afferents fiber 인 A-beta fiber(주로 촉각이나 압박, 진동감각 담당)이 이러한 통증 gate를 닫아주게 되고, 따라서 이런 fiber가 자극되는 경우 뇌로 전달되는 자극 신호를 막아주어 통증을 조절하는 gate가 닫히게 됩니다.

 

TENS는 이러한 mechanism에 이론을 기반하여, 오히려 Large afferents fiber인 A-beta fiber를 자극해주어 brain의 cortex로 통증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통증을 경감시켜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두번째는 신경전달물질들의 분비입니다. 

 

2. Endogenous opioids secretion

중추신경계의 내인성 아편 유사 물질인 Endogenous opioids와 serotoinin, gamma-aminobutriy acid, noradrenaline, actylcholine 등을 분비하여 해당 물질들은 통증을 경감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이러한 통증 완화제가 통증 조절을 도와주게 됩니다.

 

경피적 신경자극치료 (TENS) 적응증

 

그렇다면 어떤 종류의 통증이 있을때 경피적 신경자극치료를 진행해볼 수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급성기와 만성기 통증 모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 근육통증 및 염좌

- 절단 후 환상 신경통 (Phantom pain)

- 신경인성 통증 (Neuropathic pain)

- 근막 통증 증후군 (Myofascial trigger points)

-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 (Diabetic peripheral polyneuropahty)

 

경피적 신경자극치료 (TENS) 금기증

 

하지만 해당 치료를 항상 진행하는 것은 아니고, 분명 피해야할 부분도 있습니다.

 

- 눈이나, 입, 두뇌 주변 부위

- Carotid sinus (Vasvoagal reflex를 유발할 수 있음)

- Anterior neck (Laryngospasm을 유발할 수 있음)

- 감각이 저하된 부위

- 임신

- 경련의 기왕력 있을때

- Pacemaker나 defibrillator 있는 경우

- 피부에 상처자국이 있는 경우 (incision or abrasion)

 

 

이러한 경피적 신경자극치료는 강도(intensity), 주파수(frequency), 빈도(duration)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나뉘게 됩니다. 가장 고전적으로 사용되는 Conventional TENS의 경우에는 저강도 고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High stimulation frequency (>100Hz), low intensity (10~30mA), Shourt pulse duration (50~100us)

Asymmetric, biphasic waveform 이 주로 선호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