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need to talk about rehab/Medical knowledge

재활의학과 의사가 알려주는 도수근력검사 (Manual muscle test)

Dr.A 2021. 10. 8. 02:50
반응형

오늘은 도수근력검사 (Manual muscle test)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수근력검사 (Manual Muscle Test)

먼저 환자분이 뇌졸중이나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하여 재활치료가 필요해 재활병원에 입원하게 되면 가장먼저 진행하는 것이 도수근력검사 입니다.

도수근력검사란 각각의 근육이 얼마정도의 근력을 가지고 있는지 다소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검사입니다.

환자의 현재 근력정도가 어느정도인지 먼저 알아야 다음 재활치료의 타겟을 정하기 때문입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근력검사법은 Lovett이 고안해낸 도수근력검사 법입니다.

이는 각각 근육의 중력과 저항, 관절가동범위 세 가지를 모두 반영하여 해당 근육의 근력을 평가하게 되고 0점부터 5점까지 단계를 구분합니다. 각각 점수에 따라 Zero, Trace, Poor, Fair, Good, Normal 등의 6개 등급으로 구분하며, 각각의 등급에 따라 Fair, Poor의 경우 미세한 차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Fair+, Poor+, Poor- 세가지 단계까 있습니다. ( 예를들어 Good과 Normal 사이에 있다고 한다면 Good+ 이런식으로 표기를 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

세밀하게 평가하는 방법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 도수근력검사 (Manual Muscle Test) >

점수 근력의 보존 정도 등급 설명
5 100% Normal(N) 중력과 충분한 저항 하에서 능동적 정상 관절 운동이 가능한 경우
4 75% Good(G) 중력과 어느 정도의 저항 하에서 능동적 관절 운동이 가능한 경우
3 50% Fair(F) 중력을 이기고 능동적 관절 운동이 가능한 경우
2 25% Poor(P) 중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능동적 관절 운동이 가능한 경우
1 10% Trace(T) 불수의적으로 근육이 수축하는것이 확인되나 능동적 관절운동은 전혀 불가능한 경우
0 0% Zero(Z) 근육이 전혀 수축하지 않는 경우

도수근력검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이나, 장애의 평가를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므로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여 일반적으로 큰 병원인 경우 최종 confirm은 의사가 하도록 되어있습니다.

해당 개별 근육에 대한 검사 방법이 모두 다르므로, 기회가 될때 해당부분은 더욱 자세히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별 근육에 대하여 포스팅 하기엔 내용이 너무 많습니다... ^^;;


장애의 평가에서 3등급(Fair) 정도의 근력이 중요한 기준점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첫번째로, 대부분의 동작이 중력 하에서 시행되기 때문에 3등급 정도의 근력이 있으면 중력을 이기고 움직임이 가능하여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고 보지만, 3등급 이하의 경우에는 중력에 대한 운동 작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하는데 외부의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로, 근력이 3등급인 근육은 근 위약이 발생하여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관절 구축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4등급 이상의 경우는 민감도가 떨어져 근력계를 사용하여 근력을 측정하기도 합니다.

해당 등급 평가는 자택에서도 가볍게 해볼 수 있으니 기회가 된다면 진행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