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need to talk about rehab/Pulmonary rehabilitation(호흡재활)

의사가 알려주는 호흡재활/호흡생리학/호흡근/생리해부학 (1)

Dr.A 2021. 10. 7. 06:00
반응형

최근 코로나가 심해지면서 코로나 후유증으로 인해 불편함을 호소하는 환자분들이 많습니다.

코로나를 앓고난 뒤 큰 후유증은 없지만 운동할때 다소 숨이 차다거나, 이전에 비해 활동량을 적게해도 힘들다거나, 숨쉬는데 불편한 느낌이 든다는 환자분들이 호흡 재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알아보시는 듯 합니다.

오늘은 호흡질환과 호흡 해부생리학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호흡의 과정

우리 몸의 폐 자체에는 근육이 없기때문에 폐가 스스로 움직여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것이 아닙니다.

폐는 폐를 둘러싸고 있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호흡을 하게 됩니다. 호흡근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폐가 움직이게 됩니다.

흡기 (숨을들이쉬는 것) 은 폐 주위의 흡기근이 수축하게 되면서 흉곽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고 공기가 폐 내부로 유입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

즉, 흡기시에는 흡기근 수축 > 흉곽 내부의 음압 형성 > 공기가 폐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평상시에는 흡기로 팽창된 폐가 반동(recoil) 을 하며 폐로 들어온 공기를 내뱉게 되지만,

과하게 호흡을 하거나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는 경우 숨을 내뱉는 근육인 호기근도 같이 사용되게 됩니다.

주로 사용되는 호흡근육으로는 횡격막과 늑간근

보조 호흡근육으로 사용되는 대흉근(Pectoralis major), 복근, 목갈비근(Scalenes muscle) 등이 있습니다.

<주 호흡근>

- 횡격막 (Diaphragm)

 

횡격막 (Diaphragm)

횡격막은 위 그림처럼 생겼는데, xiphoid process의 안쪽, 아래쪽 costal cartilage (요추1번~요추3번)까지 걸쳐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횡격막은 횡격신경(phrenic nerve) 의 지배를 받아 경추3번~경추5번에서 분지하는 신경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척수 손상중에 상위 부분이 손상된 high cervical cord injury의 경우 횡격막 근육의 문제가 발생하여 자발적인 호흡을 하지 못하고, ventilator 에 의존하여 호흡을 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 늑간근 (Intercostal muscle)

늑간근은 내측 늑간근(Internal intercostal muscles) 과 외측 늑간근(External intercostal muscles) 두가지 근육으로 나누어져 있고 서로 직각을 이루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외측 늑간근은 상부 늑골에서 기원하여 하부 늑골에 insertion 하는 모습을 볼 수 있고 수축하는 경우 갈비뼈를 위로 들어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흉막 내 음압을 형성하게 되고 흡기를 발생시킵니다.

내측 늑간근은 하부 늑골에서 기원하여 상부 늑골에 insertion 하는 모습을 볼 수 있고 수축하는 경우 갈비뼈를 아래로 내려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흉벽이 압박을 받아 호기를 발생시킵니다.

해당 근육은 thoracic nerve 의 지배를 받습니다.

<보조 호흡근>

보조 호흡근은 정상적이거나 평상시 호흡에는 작용하지 않는 근육으로, 운동이나 질환으로 인하여 더 많은 호흡량이 필요할 때 호흡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할성화 됩니다.

우리가 유산소 운동을 심하게 하거나 숨을 헉헉거릴때 보통 같이 사용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목갈비근 (Scalene muscle),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muscle), 대흉근 (Pectoralis major), 복근 등이 있습니다.

먼저 근육에 대하여 알고 있어야 해당 질환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는데 훨씬 도움이 되고 쉬울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근육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 입니다.

반응형